GA4/GA4 광고 PART

GA4 광고 보고서가 도대체 뭐하는 곳인거지?

Keymaeleon 2023. 2. 2. 23:59

광고 섹션에 들어온 여러분은 대체 이곳이 무엇을 하는 곳일지 의문이 생길 것이다. 필자는 처음에 봤을 때, '광고에 대한 성과 분석을 하는 곳이 아닐까?' 생각을 했었는데, 반은 맞는 말이기도 하다.

 

광고 보고서의 궁극적인 목적은 '전환 과정에서의 경로별 기여도를 측정' 하는 것이다. 즉, 전환 기여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어떤 경로로 고객이 유입되어 전환이 발생했는지 혹은 어떤 채널 및 캠페인이 기여를 많이 했는지를 파악하는 곳이 '광고 보고서'이다.

 

그렇다면 자연스럽게 해당 탭에 대한 이해도 들것이다. '실적 - 모든 채널'은 모든 채널에서의 전환 실적을 파악하는 곳이며, '기여 분석'은 전환까지 이르는 단계에서 어떤 부분이 기여를 했고, 전환을 일으키는 터치포인트에 대한 분석을 할 수 있는 곳이다. '실적 - 모든 채널'부터 들어가보자.

만약에 여러분이 구글에서 제공하는 테스트 계정으로 들어간다면 해당 테이터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아무것도 설정되지 않은 쌩 계정에서 해당 부분을 들어간다면?

텅 비어버린 데이터셋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왜 이렇게 되는 걸까? 위에서도 말했듯이 광고 보고서는 '전환 + 기여도'에 관한 보고서이다. 즉슨, '전환'에 대해 세팅을 하지 않았다면 해당 섹션에서 어떤 데이터도 확인할 수 없게 된다. 기존에 사용했던 UA에서는 '목표' 세팅을 따로 두어서 전환을 측정했지만, GA4는 전환 측정 방식이 다르다.

전환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일련의 과정이 필요하다. [ 관리 > 이벤트 ]에 들어가서 전환으로 활성화하고 싶은 이벤트를 위에 사진처럼 토글 활성화시켜야 한다. 이벤트 등록 및 전환 관련 내용은 블로그 내에 있음으로 확인하면 된다. 일단은 전환으로 표시를 해야 '광고 보고서'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자.

광고보고서 '실적 - 모든 채널'에서는 채널 내에서의 전환 데이터에 대해 나타내고 있으며

기본 채널 그룹 / 소스/매체 / 소스 / 매체 / 캠페인 총 5가지 측정 기준이 존재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서서 했음으로 넘어가도록 하겠다. 심플하게 생각하면 된다. '실적 - 모든 채널'은 전환 및 이에 따른 관련 데이터들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섹션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하지만! 여기서 일어나는 전환이 '전환 = 구매 전환' 이라고 생각하면 절대 안 된다. 왜일까? 아까도 언급했듯이 어떤 이벤트도 전환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해당 이벤트들이 현재 전환으로 설정해놓은 상태임으로, '전환'값에는 이 이벤트들의 합이 다 들어가있는 것이다. 만약 여러분이 오직 '구매' 이벤트에 관한 전환만을 보고 싶다면

상단의 전환 이벤트에서 'purchase' 부분만 클릭한 결과값을 보면 된다.

 

자, 그러면 'purchase' 이벤트에 대한 전환 관련 데이터만 남게 된다. 한번 쭉 살펴보자. Paid Search를 보면 8,117달러를 쓰고 35개의 전환 이벤트 및 2,133달러 매출을 기록했다. 간단한 예시로, 이런 경우라면 '관리자를 자르던지, 검색광고 비중을 축소하던지, 키워드를 변경하던지, 혹은 다른 이벤트 전환을 크게 일으켰는 지 추가적으로 확인 등' 여러 가설을 세우고 조치를 취하도록 하자.

 

다음에 이어서 '기여 분석' 섹션에 대해 이야기를 하겠다. 여기는... 어렵다! 내용도 어렵고, 설명이 쉽게 가능한 부분이 아니라서 포스트 하나에 잘 풀어서 설명할 예정이다.

 

 

 

 

'GA4 > GA4 광고 PA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4 기여 분석에 대해 뿌리까지 파헤쳐보자!  (1) 2023.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