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4/GA4 설정 PART 6

레퍼럴이 뭐야? GA4 원치 않는 도메인 트래픽 제외하기, 원치 않는 추천 나열

[ 원치 않는 추천의 사전적 의미 ] 원치 않는 추천 나열? GA가 생소하신 분들에게는 이해가 어려운 말이다. 추천 나열을 원치 않는다는 것이 무슨 의미일까. 하지만, 여기서 '추천'이란 Recommend가 아니라 Referral을 의미한다. 영문으로는 Unwanted Referral이라고 한다. 'Referral'은 실제로 'Recommend'는 일종의 제안의 성격을 가지고 있기에 그 의미가 비슷하다. 그렇다면 다른 점은 무엇일까? 흔히 우리가 자주 접하는 '추천인, 추천코드'는 영어로 recommendation code가 아닌 'Referral code'라고 한다. 여기서 차이점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누군가에게 어떤 행동 혹은 물건을 추천하는 것은 'Recommend'이고, 누군가에게 도움이나 정..

GA4/GA4 설정 PART 2023.02.01

GA4 크로스 도메인 체킹, 누구나 쉽게 가능하다!

오늘은 크로스 도메인 체킹에 대해서 설명하려고 한다. 그전에 앞서 크로스 도메인 체킹이란 무엇일까? 한국말로 직역하면, 도메인 x 도메인 체킹인데? 말 그대로 서로 다른 웹사이트를 교차로 방문할 때, 세션이 끊기지 않게 트래킹한다는 뜻이다. 즉슨, 크로스 도메인 트래킹을 하지 않는다면, 주소가 다른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에 세션이 끊긴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내가 www.naver.com 을 소유하고 있다. 그 웹사이트 내에서 www.navers.com을 이동할 수 있으며 이 또한 소유하고 있다. 크로스 도메인 트래킹을 하지 않으면 두 도메인의 소유권은 동일하지만 www.navers.com로 이동할 때 www.naver.com에서의 세션은 끊기게 되며, 성과에 대한 추적 역시 중단된다. 크로스 도메인 트..

GA4/GA4 설정 PART 2023.02.01

GA4 내부 트래픽 및 개발자 트래픽 제외하기! 세부적으로 알아보자

내부 및 개발자 트래픽을 따로 분류하는 작업은 필수적이다. 원치 않은 데이터를 쌓지 않기 위해서이기도 하지만, 태그 설치가 원활하게 되었는지 효율적으로 체킹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 UA와는 다르게 GA4에서는 내부 트래픽을 필터링하는 원리와 방식이 바뀌었다. GA4에서는 모든 데이터 수집을 '이벤트' 기준으로 변경되었다. 내부 트래픽 필터링 역시 그 원리가 적용되는데, 내부 IP를 정의하면 내부 트래픽 이벤트가 필터를 통해 걸러내진다. 이말은 즉슨, GA4에 '우리 내부 트래픽은 이겁니다!'라고 알려줘야하며, 그 내부 트래픽 이벤트를 GA4가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설정이 필요하다. 쉽게 말해, 내부 트래픽을 정의하고, 정의된 내부 트래픽에 필터를 걸어 걸러내는 작업 이 두가지 작업이 필요하다. [..

GA4/GA4 설정 PART 2023.02.01

GA4 잠재고객이란? 누구나 쉽게 잠재고객 설정하기!

마케팅에는 주류적인 흐름이 있다. 코로나 시국에는 퍼포먼스 마케팅, 이어서 IMC 마케팅, CRM 마케팅... 과정 속에서 '퍼포먼스 마케팅의 종말!', '앞으로는 브랜딩이 중요해질 것이다!' 등 많은 추측이 있어 왔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그런 관점이 있을 순 있지만, 필자의 결론은 '각 마케팅 퍼널별 유기적 흐름과 그것의 효율화'가 중요하다는 생각이다. 이런 당연한 결론;;을 넘어서 고도화된 마케팅 방식을 어떻게 자신의 비즈니스에 접목시킬 것인가가 장기적인 관점에서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쨌든, 그 흐름 속에서 데이터 기반의 사고는 더욱 중요해졌으며, 고객 니즈와 행동 흐름 파악을 단순히 감이 아닌 데이터적으로 접근하게 되었다. 자, 그렇다면 기업이 가지고 있는 마케팅 예산이 한정적이라면, 어떻게 쓰는..

GA4/GA4 설정 PART 2023.01.31

GA4의 기초적인 기본 구성 전부 살펴보기 - 관리 탭 (이벤트, 전환수, 맞춤 정의)

저번 관리 탭 파헤치기 2탄. 이번에는 '이벤트, 전환수, 맞춤 정의'에 대해 설명하겠다. [ 이벤트 ] 'GA4 관리 - 이벤트'는 GTM 처럼 태그를 설정하고 설치하는 그런 공간이 아니다. '기존 이벤트'를 기반으로 GA4 내에서 좀 더 유연하게 이벤트를 변경하는 항목이다. 즉, '기존 이벤트'에 대한 설정은 GTM에서 진행하고, '기존 이벤트'를 수정하고 범주를 더 좁히는 일을 해당 항목에서 한다. 여러 속성의 동일한 이벤트를 사용하여 보고서를 간소화 하기 위해 이벤트 이름 오타 수정 기존 이벤트를 기반으로 조합하여 새 이벤트를 만들어 특정 조건에서 트리거 이벤트 범위 축소 후, 전환으로 표시 예를 들어보자. GTM으로 비구매자에 대한 이벤트를 설치했는데, 실수로 no_purcheese라고 이름을 ..

GA4/GA4 설정 PART 2023.01.31

GA4의 기초적인 기본 구성 전부 살펴보기 - 관리 탭 (속성 설정, 데이터 스트림, 데이터 설정, 디버그뷰)

설명에 앞서서 GA4에 '구성' 항목은 '관리'로 이관(?)됐다. [ GA4 - 관리 ] 뭐가 이래저래 많다. 실제로 GA4에서 신물날 정도로 많이 들어가야하는 항목이고, 데이터 수집 및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관리 내 세부적인 부분들은 꼭 숙지를 하기를 바란다. 세부적인 세팅에 대해서는 따로 다룰 예정이며, 간략하게 각 항목들이 어떤 룰을 담당하는 지 설명하려고 한다. [ 어시스턴트 설정 ] 뭔가 설정해야할 것 처럼 보이지만, 해당 항목은 체크 리스트로 생각하면 된다. 초기 설정에 있어서 필요한 부분을 알맞게 설정하였는지 체킹하는 용도로 쓴다. [ 속성 설정 ] 이미 계정 설정할 때에 해당 부분은 설정을 진행하고 넘어가기에, 잘 세팅을 했다면 수정할 필요는 없다. 속성 이름을 변경하고 싶..

GA4/GA4 설정 PART 2023.01.31